[금융소비자뉴스 손진주 기자] 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의 비정규직 집배 및 택배원 2252명이 공무원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이들 비정규직은 그동안 본부의 임금착취와 살인적 노동강도 등 ‘갑의 횡포’에서 벗어나 근로조건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국회가 상시 집배원·택배원 국가공무원 전환 예산과 우정실무원·특수지 계약집배원 명절보로금(보너스) 인상액을 담은 정부 예산안이 지난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데 따라 일단 우본 인건비가 300억 원 증액됐다.
우본 관계자는 이에 따 우본의 비정규직 공무원 전환에서 역대 최대규모인 상시 집배원·택배원 2252명이 내년에 공무원으로 전환된다고 13일 밝혔다.

우본이 올해 집배원 1062명에 이어 내년에 2252명을 공무원으로 전환하면 2년간 비정규직의 공무원 전환인원은 3314명에 이르게 된다. 우본은 외환위기 직후 정부의 공무원 감축 정책에 따라 1999년부터 공무원 신분이 부여되지 않는 우편배달 인력을 채용해왔다. 그러나 이들 비 정규직은 공무원 집배원과 똑같은 일을 하면서도 임금은 적고 근무시간은 많아 열악한 근로조건에 시달리고 있다고 노동조건개선과 공무원 전환을 요구해왔다.
우본은 당초 내년부터 4년에 걸쳐 2000여명을 공무원으로 전환할 방침이었지만 국회에서 4년치 예산을 내년 예산에 모두 반영하자 1년 만에 상시 집배원·택배원 전원의 공무원 전환을 마치기로 했다.
또 우정실무원 전일제와 특수지 계약집배원은 명절보로금이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우정실무원 시간제는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인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