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년 말 물가 안정 목표인 2%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상당 기간 고금리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올해 한국 물가 상승률은 3.6%, 내년 물가 상승률은 2.4%로 전망했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런 내용의 2023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헤럴드 핑거 IMF 미션단장 등이 지난 8월 말 한국을 방문해 기재부·한국은행 등과 면담한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것으로, IMF는 매년 회원국의 경제상황 전반을 점검한 뒤 정책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낸다.
IMF는 이번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을 3.6%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제시한 3.4%보다 0.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최근 고유가 상황 등을 반영해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종전 2.3%에서 2.4%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IMF는 물가 상승세가 둔화해 내년 말에는 한은의 물가 안정 목표인 2%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섣부른 통화 완화 정책은 지양해야 한다며 현재 한국의 통화정책은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성장률은 올해 1.4%, 내년 2.2%로 지난 10월 내놓았던 전망치를 각각 유지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수출 개선, 관광산업 회복 등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반등한다고 봤다. IMF는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1.3% 수준에서 점차 개선돼 4.0%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봤다.
가계·기업의 높은 부채와 비은행 금융기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의 잠재적 불안 요인이 있으나,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가계·기업의 금융자산 보유 수준, 엄격한 거시건전성 규제 등을 고려할 때 금융시장 전반의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낮게 봤다.
IMF는 또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