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현금 서비스와 카드론 등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를 견디지 못하고 있는 취약 차주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등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지난 8월 말 2.9%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포인트(p) 상승한 수치로, 2015년 8월(3.1%) 이후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2014년 11월(3.4%)을 고점으로 점차 하락해 지난해 9월 1.8%까지 떨어졌다.
올해 1월 2.2%로 고개를 든 연체율은 2월 2.5%, 5월 2.7%로 뛰더니 하반기 들어 3%에 육박할 정도로 눈에 띄게 올랐다.
지난 8월 말 기준 일반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0.4%로 4년 만에, 기업대출 연체율은 0.5%로 3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았으나 카드대출 연체율보다는 낮은 편이었다.
은행 대출 연체율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카드 빚을 제때 갚지 못한 서민이 유독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은행 카드 대출자는 다중채무자인 경우가 많고, 급전이 필요해 이용하는 취약 차주가 상당 비중을 차지해 고금리 장기화의 그늘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사례로 풀이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카드 대출은 가계대출 등과 비교하면 소액”이라며 “소액 대출조차 연체하는 고객이 늘어나는 것은 부정적인 신호”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