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신생아수 감소는 22년 10월이후 10개월 연속 지속중. 광주,세종,부산, 제주, 충남, 대구순 감소폭 커
7월 사망자수는 8.3% 증가. 올1~7월 전국에서 6만명 이상 자연감소. 혼인, 이혼은 모두 7월에 감소

[금융소비자뉴스 이동준 기자] 지난 7월 출생아 수가 1만9,102명으로, 7월 기준으로 처음 2만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출생은 계속 주는 반면 사망은 늘면서 올해 1~7월 인구는 6만명 넘게 자연 감소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3년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출생아 수는 1만9,102명으로, 작년 7월의 2만475명보다 1,373명(6.7%)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계절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통 전년동월과 비교하는데, 이는 1981년 통계가 작성된 이래 역대 최소치다. 월 출생아 수 감소는 지난해 10월부터 10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올 1~7월 출생아수는 13만9,445명으로, 전년동월 14만8,963명보다 6.4%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1~7월 출생아 감소율이 광주가 13.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세종(-10.6%), 부산(-8.8%), 제주(-8.5%), 충남(-7.8%), 대구(-7.4%), 경북(-7.4%), 경기(-7.1%), 서울(-7.0%) 등의 순이었다. 충북(+2.9%)을 제외하고 전 지역이 모두 감소했다.
7월 사망자 수는 2만8,239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2,166명(8.3%) 증가했다. 하지만 1~7월로는 사망자수가 전년동월 대비 8.9%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줄어드는데 비해 사망자 수는 늘어나면서 7월 자연증가(출생아-사망자)는 –9,137명으로 자연감소했다.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감소했다. 올해 1~7월로 보면 전국에서 6만1,168명의 인구가 자연 감소했다.
7월 혼인 건수는 1만4,155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92건(-5.3%) 감소했다. 1~7월 누계로는 아직 7.2% 증가해 있는 상태다.
7월 이혼 건수는 7,5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건(-0.5%) 줄었다. 1~7월 누계로는 1.2% 늘었다. 이혼은 지난 2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하다 이달 감소로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