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잠정 회수율 62%수준…신뢰회복 위해 강도높은 쇄신안 마련 중”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BNK금융지주가 경남은행의 총 3000억원 규모의 '역대급 횡령' 사고를 두고 은행의 실제 손실은 595억원 규모라고 반박했다. 경남은행은 손실액이 이미 재무제표에 반영돼 회계적으로는 추가 반영할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BNK금융은 21일 경남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사고와 관련한 참고 자료를 통해 “횡령 금액이 당초 발표보다 늘어났지만 재무적 손실과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변함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날 금융감독원은 경남은행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 횡령 금액이 2988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당초 알려졌던 560억 원 규모 보다 훨씬 큰 금액이었다.
금감원에 따르면 15년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업무를 담당해온 A씨는 2009년 5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본인이 관리하던 17개 PF 사업장에서 총 2988억 원을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이에 대해 BNK금융은 “(2988억 원) 해당 수치는 수차례 돌려막기 했던 금액을 단순 합계한 것으로 실제 순 횡령액은 595억 원이 맞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순 횡령액이 당초 발표 562억원보다 33억원 증가했으나 이는 이미 대손처리된 특수채권과 미인식수익금이므로 재무적 손실(순손실액)은 기 공시한 490억원과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또 BNK금융은 "현재까지 발견한 손실금 중 회수 가능 금액은 296억원으로 피해액 최소화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어 실제 손실 금액은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라고 강조했다.
BNK금융은 "BNK금융그룹에서는 금융사고 재발방지와 주주와 고객 여러분의 신뢰회복을 위해 강도높은 자구책과 쇄신안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당국의 조사와 수사가 마무리 되는데로 주주와 고객에게 설명드릴 예정이며 앞으로도 BNK금융그룹에 애정어린 격려과 관심을 당부 드린다"고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