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정윤승 기자] 대(對)이란 제재로 한국에 동결됐던 이란의 원화자금이 제3국으로 이전된 것이 공식 확인됐다.
그동안 한·이란 관계 악화 요인이었던 동결자금 문제가 해결되면서 양국관계 정상화의 여건이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이란 금융제재로 인해 한국에 동결되어 있던 이란 자금이 관련국간의 긴밀한 협조 하에 최근 제3국으로 이전됐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동결자금 문제 해결은 당사국들뿐만 아니라, 카타르·스위스 등 제3국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던 바, 정부는 이들 국가의 건설적 역할에 각별한 사의를 표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이란은 전날 수감자를 맞교환하며 그간 한국 내 은행에 묶여 있던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 약 60억달러를 스위스를 거쳐 카타르로 송금하는 절차를 완료했다.
정부는 “이란 동결자금은 카타르로 이전된 후에도 한국에서와 유사하게 식량, 의약품 구입 등 인도적 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라며 “정부는 카타르에 우리의 인도적 교역 경험을 공유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 자금이 이란 국민의 소유라는 명확한 인식 아래, 동결자금 문제의 궁극적 해결을 위해서 관련국과의 외교적 소통과 협의를 지속해왔다”며 “이번 동결자금 이전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향후 보다 발전되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에 개설된 이란중앙은행 명의의 계좌에는 약 60억 달러의 돈이 묶여 있었다. 해당 계좌로 이란은 판매 대금을 받고, 한국으로부터 수입품 대금을 지급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2018년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탈퇴하고 이란중앙은행을 제재 명단에 올리면서 계좌가 2019년 5월부터 동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