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서울 잠실에 호텔과 연계된 첨단 돔구장이 추진된다.
북미 출장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현지시간) MLB 리그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홈구장인 캐나다 토론토 로저스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도 이렇게 야구를 축제처럼 즐길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호텔과 연계해 돔구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잠실 돔구장 건립 계획을 밝혔다.
이날 오 시장이 둘러본 토론토 로저스센터는 약 4만1000석 규모의 돔 경기장으로, 메리어트시티센터호텔과 일체형으로 조성돼 일부 객실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메리어트시티센터호텔은 시즌 중에는 주로 야구관객이 많아 시즌 중에는 거의 빈 객실이 없을 정도로 인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야구장을 조망할 수 있는 호텔 복층 객실의 1층에는 5∼6명 정도가 간단히 업무를 보거나 모임을 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에 테이블, 의자 등이 갖춰져 있고, 2층에 마련된 침실에서도 유리창 앞 소파에 앉아 편안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현 잠실야구장을 허물고 그 자리에 지어지는 잠실 돔구장은 민간투자로 진행되는 '잠실 스포츠·마이스(MICE) 복합개발 사업'의 일부로서, 서울시는 현재 이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인 ㈜서울스마트마이스파크(주간사 ㈜한화)와 돔구장 건립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시는 내년 말까지 실시협약을 마무리하고 2025년 시즌까지 기존 잠실야구장에서 경기를 치른 뒤 2026년 착공, 2031년 말 준공한다는 목표다.
개폐식이 아닌 폐쇄형 구조에 국제경기 유치가 가능한 3만석 이상의 국내 최대 규모로 계획 중으로, 내·외야를 순환하는 360도 개방형 콘코스(관중석과 연결된 복도공간)와 스카이박스, 필드박스, 패밀리존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각종 프리미엄석을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돔구장과 호텔(야구장 뷰 120실 포함해 총 300여실)을 연계 조성해 객실, 레스토랑, 피트니스 등 호텔 내 여러 공간에서 이색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공사 기간 중 대체 구장 확보 문제가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잠실주경기장에 리모델링을 통해 1만7000석 규모의 대체 구장을 만드는 방안은 안전 확보가 쉽지 않고 10개월 이상 공기 지연이 불가피하다는 이유로 무산됐고 고척돔, 목동야구장이나 수원, 인천 등 기존 구단과 같이 나눠서 쓸 수 있는 방안을 KBO와 구단 등과 협의할 계획이라고 시는 전했다.
개방형 구장 대비 2배 이상인 5000억원 안팎의 돔구장 건설비도 문제다.
이에 일각에서는 사업비가 커지면서 돔구장 건립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할 거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