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중국 경기 침체 장기화와 부동산 위기로 인한 금융 불안에 국내 투자자들이 대 중국 투자를 줄여가고 있다.
펀드 평가사 에프앤가이드는 지난 5일 기준 국내에서 운용 중인 설정액 10억원 이상 해외 주식형 펀드 가운데 중국·홍콩 펀드 설정액은 최근 1개월간 2387억원 줄었다고 6일 발표했다.
중국·홍콩 펀드의 설정액 감소분은 다음으로 감소분이 많은 아시아·태평양 펀드(767억원)의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 같은 설정액 감소는 중국·홍콩 펀드가 이 기간 부진한 성적을 내며 손실 위험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자금을 뺀 것으로 풀이됐다.
같은 기간 러시아(3.04%), 인도(2.15%), 베트남(1.96%), 북미(1.41%) 등이 수익을 낸 것과는 대조적으로 중국·홍콩 펀드는 평균 6.11% 수준의 손실률을 냈다. 5.04%의 손실을 기록한 브라질 펀드보다도 성적이 나빴다.
최근 3개월로 범위를 확대하면 중국·홍콩 펀드 설정액은 2617억원 줄어든 반면 인도와 베트남, 일본 펀드 설정액은 179억원, 234억원, 207억원 늘었다.
중화권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개인투자자(중학개미)들의 중국·홍콩 주식 보관액도 축소됐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투자자들의 중국·홍콩 주식 보관액은 31억2197만달러(약 4조1600억원)로, 지난해말 38억5213만달러(약 5조1330억원)에서 20%가량 줄었다.
지난달 중순께 중국 부동산업체 비구이위안(碧桂園)의 채무불이행 위기가 고조되며 금융권으로 위험이 전이될 조짐이 나타나자 국내 투자자들이 지난달 한 달 동안 4억3199만달러(약 5750억원)어치 중화권 주식을 팔아치운 영향이다.
게다가 지난달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개월 연속 50 아래로 떨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 것도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를 떨어트렸다.
이 같은 중화권 펀드에 대한 투자 심리 반등은 최근 중국 정부가 주식거래세 인하 등 증시 활성화 대책과 부동산 부양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당분간은 쉽지 않다는 게 국내 증시 전문가들의 평가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재정정책 여력은 크지 않아 직접적인 경기 부양 경로를 선택하기보다 신용 확대, 규제 완화 등을 통해 간접적인 경로를 택하고 있다"면서 4분기 이후 부양정책의 효과가 누적되고 부동산과 경기 연착륙이 이뤄지면 중화권 주식시장이 다시 살아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