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정윤승 기자] 금융위원회가 내년 예산을 4조5000억원대로 책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서민금융과 기업혁신·구조조정,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금융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2024 회계연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이 4조56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3% 증액됐다고 29일 밝혔다.
금융위는 내년 예산안에 서민금융 지원과 기업·지역경제 활성화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관련 사업을 중점 편성할 방침이다.
유형별로 보면 서민금융 지원에 1조6000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기업혁신·구조조정 지원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각각 3023억원과 1000억원을 배정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서민금융 부문에서는 햇살론15에 900억원, 소상공인·자영업자 채무조정 새출발기금 프로그램에 7600억원, 최저신용자 한시 특례보증에 560억원의 예산이 편성된다.
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에 각각 5000억원과 1657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또 내년 농어가목돈마련저축장려기금으로 모두 641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 출연 예산 315억원에 한국은행 출연금 등이 더해진다.
기업 혁신·구조조정 지원을 위한 주요 예산으로는 혁신성장펀드와 핀테크 지원사업, 기업구조혁신펀드 등이 편성됐다. 금액별로는 혁신성장펀드 2400억원, 핀테크 지원사업 123억원, 기업구조혁신펀드 500억원 등이다.
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을 위한 주요 예산으로는 지역활성화 투자펀드를 편성해 1000억원이 쓰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네년 예산안을 통해 진정한 약자 복지와 미래 성장 동력 지원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향후 국회심의 과정에서 예산의 필요성을 충실히 설명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가 내년 예산을 4조5000억원대로 책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서민금융과 기업혁신·구조조정,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금융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2024 회계연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이 4조56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3% 증액됐다고 29일 밝혔다. 서민금융 지원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사업 예산이 크게 늘었다.
금융위는 내년 예산안에 서민금융 지원과 기업·지역경제 활성화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관련 사업을 중점 편성할 방침이다.
유형별로 보면 서민금융 지원에 1조6000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기업혁신·구조조정 지원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각각 3023억원과 1000억원을 배정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서민금융 부문에서는 햇살론15에 900억원, 소상공인·자영업자 채무조정 새출발기금 프로그램에 7600억원, 최저신용자 한시 특례보증에 560억원의 예산이 편성된다.
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에 각각 5000억원과 1657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또 내년 농어가목돈마련저축장려기금으로 모두 641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 출연 예산 315억원에 한국은행 출연금 등이 더해진다.
기업 혁신·구조조정 지원을 위한 주요 예산으로는 혁신성장펀드와 핀테크 지원사업, 기업구조혁신펀드 등이 편성됐다. 금액별로는 혁신성장펀드 2400억원, 핀테크 지원사업 123억원, 기업구조혁신펀드 500억원 등이다.
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을 위한 주요 예산으로는 지역활성화 투자펀드를 편성해 1000억원이 쓰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네년 예산안을 통해 진정한 약자 복지와 미래 성장 동력 지원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향후 국회심의 과정에서 예산의 필요성을 충실히 설명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