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열폭주에 화재 진압 어려워…소방청 누리집에 대응방법 소개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상반기 전기차 화재가 지난해 전체 건수에 육박할 만큼 전기차 화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올해 상반기 전기차 화재가 42건으로 지난해 전체 건수 44건에 조금 못 미쳤다고 25일 밝혔다.
2020년 이후부터 올해 6월까지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는 총 121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11건에서 2021년 24건, 2022년 44건, 올해 상반기 42건으로 매년 2배가량 느는 추세다.
사망자는 지난해 1명 있었고, 부상자는 2021년 1명, 2022년 3명, 올해 상반기 6명 등 10명이 나왔다.
전기차 화재의 급증은 기본적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 34만7000대 중 화재 발생 비율은 0.01%로, 내연기관 차량 화재 비율 0.02%(등록 대수 2369만8000대·화재 3680건) 대비 절반 수준으로 분석됐다.
2020년대 들어 전기차 화재 발생 요인은 '미상'이 37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인(29건), 부주의(22건), 교통사고(16건)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일반도로와 고속도로 등 도로에서 66건이, 주차장과 공터에서 55건이 발생했다.
전기차는 주행이나 충전 도중 화재 발생 시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 때문에 진압이 어려워 소화에 몇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이에 국립소방연구원은 소방청 누리집에 전기차 화재 대응기법을 담은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를 소개하고 있다.
소방청은 질식소화덮개, 이동식수조 등 전기차 화재진압 맞춤형 장비를 계속 확충할 계획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