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한국은행이 세 차례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물가 상승 압력이 둔화하는 상황에서 무리한 금리 인상으로 경기에 부담을 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이창용 총재 주재로 금통위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021년 8월 이후 이어져 온 금리 인상 사이클이 사실상 끝났다는 해석이다.
앞서 한은은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년 5개월간 기준금리를 0.5%에서 3.5%로 3%포인트 인상했다.
그러다 2월과 4월 “여러 불확실성 요인의 전개 상황을 점검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하겠다”며 연속 동결을 결정했다.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내려왔고, 기대인플레이션율(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망)도 5월 3.5%까지 떨어진 상태다.
더욱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6월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면서 한은은 최대폭으로 벌어진 한‧미 금리 역전차에 대한 부담도 다소 덜었다.
최근 제롬 파월 의장은 “(긴축 정책으로) 여기까지 온 상황에서 데이터와 경제 전망을 보며 신중하게 평가할 여유가 있다”고 발언했다.
이로써 현재 미국(5.00~5.25%)과 한국(3.50%) 간 금리차는 1.75%포인트를 유지하게 됐다.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대인 상황이지만, 외화자금 유출 우려보다는 경기 침체 우려가 더 큰 상황이란 점을 고려해,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도시가스, 전기료, 지역난방비 등 공공요금의 추가 인상 가능성이다. 통계청 자료를 보더라도 세 요금은 전년 동월에 비해 각각 32.5%, 22.5%, 30.9% 인상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5일 4인 가구 기준 전기·가스요금을 월 7400원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국제 에너지 가격이 여전히 높다는 판단 아래,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재무상황·경영여건이 악화됐다는게 인상의 이유로 전해졌다.
한은이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시장의 관심은 금통위가 언제쯤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둘 것인지 여부에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