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최근 5년 사이 서울 시내의 소아청소년과의원 10곳 중 1곳 이상이 문을 닫고, 인구 1000명당 개인병원 수는 서울만 제외하고는 1개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서울연구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통계'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내 개인병원(의원ㆍ치과와 한의원은 제외) 중 소아청소년과는 2017년 12.5% 줄어든 456개로 집계됐다.
개인병원 진료과목 20개 중 소아청소년과와 영상의학과(-2.4%)는 5년 전보다 수가 줄어들었다.
반면 정신의학과로 같은 기간 302개에서 534개로 76.8% 급증했고 마취통증의학과(41.2%)와 흉부외과(37.5%) 등도 수가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인구 1000명당 개인병원 수 비율은 서울만 제외하고는 모두 1개에 못 미쳤다.
서울의 개인병원 수는 9467개로 전국의 27.1%를 차지하며 전국 시도 중 유일하게 인구 1000명당 1개를 기록했다. 다음 대구 0.82개, 대전 0.78개, 부산 0.77개, 광주 0.72개, 경북 0.50개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진료과목별로 서울에서는 개원의가 전문의 자격을 딴 이후 전문과목을 표시하지 않은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이 18.4%로 가장 많았고 이어 내과(12.9%), 일반의(8.3%) 순이었다.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 중 차지하는 전문의 과목은 가정의학과(38.5%), 산부인과 12.6%, 외과 11.2%, 비뇨의학과 7.5%, 마취통증과 4.6%, 소아청소년과 3.8%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개인병원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성형외과, 피부과 등이 밀집한 강남구(1835개)였고 다음이 780개의 의원이 있는 서초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