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정부와 민간이 자동차 부품산업 육성을 위해 14조300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중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자동차부품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14조3000억원의 자금 지원 및 일감 확보, 핵심기술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및 미래차부품 특별법 제정, 자동차부품 수출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미래차 전환 및 수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이날 "민관이 합심해 수출 호조세를 지속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미래 모빌리티 시대 준비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면서 "오늘 회의를 통해 부품업계의 미래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수출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전동화, 지능화, 자율주행 등으로 대표되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모빌리티 혁명을 앞당기기 위해 자동차 부품업계의 대응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산업부는 우선 자금 지원과 일감 확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 확대하는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2대 주력 시장과 중동, 중국·일본, 아세안 등 3대 유망시장에 대한 자동차부품 수출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와 민간은 14조3000억원을 자동차부품 산업에 투입하는데 그 중 정부는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내연기관 부품업계에 5조4000억원, 자율주행 등 미래차 분야에 3조5000억원 등 총 8조9000억원을 공급한다.
또 연비 향상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희토류 저감모터, 배터리팩 경량화 소재 등 12종의 융복합 소재 개발을 지원하는 등 자율주행과 친환경차 분야에 대해 2027년까지 2조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오는 2030년까지 미래차 분야 인력소요 전망치(3만5000명)의 86%에 해당하는 3만명의 미래차 핵심 인력도 육성한다.
이 밖에 미래차 기술의 범위에 소프트웨어(SW) 등을 포함하고, 미래차 특화 부품단지를 지정하는 내용을 담은 '미래자동차 부품산업의 전환 촉진 및 생태계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