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올해 1분기에 팔린 서울 마포구 아파트 10채 중 4채 이상을 외지인들이 사들이는 등 아파트 매입을 통한 외지인들의 서울 유입이 본격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거래된 서울 아파트 6681건 가운데 25.8%(1724건)는 서울이 아닌 타지역 거주자가 매입한 거래였다.
자치구별로 마포구가 전체의 43.3%로 외지인의 원정 매입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에 거래된 마포구 아파트 305건 가운데 132건을 서울 외 타지역 거주자가 매입한 것으로, 작년 1분기 이 지역 아파트의 외지인 매입 비중 23.8%, 작년 4분기 19.5%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마포구가 작년 말 가격이 크게 하락한 이후 규제지역에서 풀리고 시중은행 금리가 하향 안정되자, 인근 수도권 지역에서 자기 집을 팔고 들어오려는 '갈아타기 수요'의 주요 유입처가 되고 있다는 되고 있다는 해석이다.
마포구에 이어 광진구가 38.5%로 외지인 매입 비중이 두 번째로 컸고, 개발 호재가 많은 용산구가 34.8%로 뒤를 이었다.
올해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눈에 띄게 늘어난 강동구(32.5%)와 송파구(30.9%)도 외지인의 매입 비중이 30%를 넘었다.
외지인과의 거래 건수는 1분기 전체 거래량 596건 중 184건을 외지인이 매입한 송파구가 서울 25개 구 중에서 가장 많았다.
송파구는 잠실동이 현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음에도 외지인들의 가족 단위 실입주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강동구 151건, 마포구가 132건으로 외지인 매입 건수가 많았다.
평소 외지인 매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인 강남구도 1분기 26.6%를 기록하며 작년 1분기(8.1%)와 4분기(16.0%) 대비 비중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