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가계부채 증가세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출이 꼭 필요한 수요자들의 경우 상환능력 범위 내에서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폭넓게 모색하겠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확대된 유동성 등으로 빠르게 증가한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공통인식 하에 그 관리방안을 논의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오늘 추가적 점검, 논의를 거쳐 보완 후 그 관리방안을 10월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경제가 회복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위기 대응에 집중됐던 정책 기조도 점차 정상화 단계로 함께 시도되는 상황"이라며 "동시에 국제유가·원자재 가격상승 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헝다그룹 문제 등 그간 잠재됐던 리스크도 일부 현재화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 병목 해소의 지연 가능성은 물론 최근 미국 부채한도 협상 및 테이퍼링 경계감 등에 따라 국내외 금리가 상승하고 주식·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며 "이러한 대외 리스크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홍 부총리는 "이런 전환기에는 관련 당국 간 코로나 위기 대응을 위한 공조노력 못지않게 보다 치밀하고 섬세한 정책 조율과 협력이 절대적으로 긴요하다"며 "우리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할 수 있는 회색코뿔소와 같은 위험요인들은 확실하고 선제적으로 제거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