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17:00 (토)
'금(金)사과' 언제까지?…생산자물가, 농산물 가격 급등에 석달 연속 상승
'금(金)사과' 언제까지?…생산자물가, 농산물 가격 급등에 석달 연속 상승
  • 김나연 기자
  • 승인 2024.03.22 10:23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자물가, 전년 대비 1.5%↑…축산물 떨어졌으나 농산물‧수산물 각각 2.6%·2.1%↑
한은 "저장 물량 적어 과일 가격 올라…대체·수입 과일 수요 지켜봐야"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과일을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생산자물가가 덩달아 3개월 연속 상승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2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2.21%로 전월 대비 0.3%,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 연속 상승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들이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가 국내 시장에 처음 출하할 때 가격을 조사해 지수화한 지표로 소비자물가의 선행 지표로 여겨진다.

부문별로 보면 농림수산품 지수가 전월대비 0.8% 오른 152.48을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축산물(-2.4%)은 하락한 반면 농산물(2.6%), 수산물(2.1%)은 올랐다.

세부적으로 농산물의 경우 감귤은 전월 대비 31.9%, 배추는 26.3%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감귤이 154.9%, 사과는 121.9% 급등했다.

수산물의 경우 우럭은 57.9% 올랐고 냉동오징어는 6.1% 상승했다. 반면 축산물은 돼지고기(-9.4%), 달걀(-5.4%) 등을 중심으로 하락했다.

공산품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탄및석유제품(3.3%), 화학제품(0.9%), 제1차금속제품(0.6%) 등이 올라 전월대비 0.5%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이 산업용도시가스(-9.2%) 등이 내려 전월대비 0.9% 하락했다. 서비스는 금융및보험서비스(0.6%), 부동산서비스(0.4%) 등이 올라 전월대비 0.2% 올랐다.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지수를 결합해 산출한 2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1.2% 올랐다. 원재료(1.7%)와 중간재(0.3%), 최종재(0.5%)가 모두 상승한 영향이다.

유성욱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1월에 비해선 농산물 물가 상승세가 조금 떨어지긴 했지만 2월 상승률 자체도 낮은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과 등 과일은 지금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풀리는 저장 물량이 적기 때문에 가격이 오른 것인데, 앞으로 대체 과일이나 수입 과일의 수요 등을 지켜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농축산연합회 “수입 확대 물가 정책 부당하다”

한편 한국농축산연합회가 22일 성명을 내고 현재 시행 중인 물가 안정 대책을 “농업 현실 외면하는 부당한 물가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정부는 농축산물 물가 안정 방안으로 1500억원을 긴급 편성해 할인 지원, 납품단가 지원, 수입 과일 할당관세 등을 실시했다.

농축산연합회는 성명에서 “정부는 유통업체 지원과 수입 확대에 나서면서 정작 국내 생산 및 공급 대책은 외면하고 있다”며 “반복되는 농축산물 할인과 수입 확대 정책은 농가소득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생산 기반을 축소해 결국 가격이 다시 상승하게 되는 악순환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농축산연합회는 “최근 사과·토마토·딸기·파 등의 농산물 가격 상승 원인은 이상기후로 작황이 부진한 데에 있다”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기후 영향으로 과일 재배면적이 2020년 17만2970㏊에서 2022년 15만8830㏊까지 줄었다”고 설명했다. 

농축산연합회는 농민이 직면한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연재해로 농산물 가격은 상승했으나 출하량이 감소하고 자재비·유류대·전기료 등의 생산비가 폭등해 2022년 농업소득은 20년 전 수준인 949만원에 지나지 않는다”며 “정부가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농축산물 수급 불안정과 농민 피해는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농업 생산성 약화도 또 다른 문제점으로 꼽혔다. 농축산연합회는 “농가인구가 2013년 285만명에서 2022년 217만명으로 줄었고 65세 이상 비중은 49.8%에 달한다”며 “밭농업 기계화율은 2022년 기준 63.3%에 지나지 않아 농업 생산성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우려했다.

농축산연합회는 “정부에 수입 확대 일변도의 물가 정책 중단을 촉구한다”며 농축산물 생산·공급 안정 방안으로 ▲이상기후 및 재해대책 ▲생산비 저감 ▲농업 인력 확충 및 기계화율 제고 ▲유통구조 개선 등을 요구했다.


인기기사
뉴스속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금융소비자뉴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여의도동, 삼도빌딩) , 1001호
  • 대표전화 : 02-761-5077
  • 팩스 : 02-761-5088
  • 명칭 : (주)금소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 01995
  • 등록일 : 2012-03-05
  • 발행일 : 2012-05-21
  • 발행인·편집인 : 정종석
  • 편집국장 : 백종국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홍윤정
  • 금융소비자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금융소비자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fc2023@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