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정윤승 기자] 최근 1년 새 서울 지역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는 감소했지만, 월세가 200만원 이상인 고가 월세 연립·다세대 거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퍼지는 전세 사기 사태로 보증금 미반환 우려가 커지자 전국 아파트 월세가 크게오른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침체기 속 집을 사기보단 고가 월세를 택하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16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최근 1년간 서울 지역의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는 5만90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2021년 11월∼2022년 10월) 대비 6.7% 감소한 수치다.
2019년 1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3만3240건을 기록했던 서울의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는 이후 2년 동안 연간 각각 21.3%, 35.4% 늘며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최근 1년간은 하락 전환했다.
하지만 월세가 200만 원 이상인 고가 월세 거래량은 같은 기간 438건에서 522건으로 1년 새 84건(19.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가 월세 거래는 2019년 1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126건을 기록한 이후 2년 동안 연간 81.7%, 91.3%씩 늘어난 후 최근까지 증가세를 지속했다.
최근 1년간의 고가 월세 거래 가운데 187건(35.8%)은 강남구에서 이뤄졌으며 이어 △서초구 122건(23.4%) △용산구 86건(16.5%) △송파구 33건(6.3%) △종로구 22건(4.2%) 등의 순이었다.
한편 월세 1000만원 이상인 초고가 월세 거래는 해당 기간 2건→14건→18건→13건 순으로 꾸준히 증가하다 최근 1년 새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장준혁 다방 마케팅실 실장은 “지난 1년 간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서울 지역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고가 월세 거래는 꾸준히 이뤄졌다”라며 “부동산 시장 빙하기에서도 고가 주택 월세 거래는 오히려 상승세를 보이는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