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IT전기전자,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유가 상승에 석유화학도 증가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국내 주요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70% 이상 급증하며 국내 주요 기업의 실적이 하반기 들어 본격 상승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됐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지난 14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304곳을 대상으로 올해 3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70.1% 증가한 39조720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5일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도 4.8% 늘어난 수준으로, 최근 5개 분기 중 최대 기록이다.
지난해 2분기 52조3842억원으로 최대치를 찍은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영업이익은 이후 같은 해 3분기 37조9166억원, 4분기 11조2477억원으로 급감했다가 올해 1분기 25조205억원, 2분기 23조3449억원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다 하반기 들어서면서 급증한 것이다.
같은 기간 주요 대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전 분기(666조2323억원)보다 2.5% 늘어난 683조2041억원으로 기록됐다.
업종별로 전기료 인상과 여름철 전력 판매량 증가에 따라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발전 5사 등의 실적이 대폭 개선되며 2분기 3조4728억원의 영업손실에서 3분기 4조8381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전환 한 공기업들의 영업이익 증가폭이 가장 컸다.
유가 인상에 따른 반사 효과가 컸던 석유화학 업종의 영업이익은 2분기 1조1491억원에서 3분기 6조130억원으로 423.3%나 급증했다.
상반기까지 '반도체 한파'로 적자폭이 컸던 IT전기전자 업종은 3분기에 3조254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전환했으며, 건설·건자재(32.9%↑), 서비스(20.0%↑), 식음료(26.8%↑), 유통(56.1%↑), 제약(40.2%↑) 등도 영업이익이 대폭 늘었다.

반면 자동차·부품, 조선·기계·설비 등은 전 분기보다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감소폭이 가장 큰 업종은 전 분기 업황 개선과 실적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 분기보다 영업이익이 10.0% 줄어든 자동차·부품(8조7688억원)이었다.
조선·기계·설비(16.1%↓), 통신(19.1%↓), 철강(25.1%↓), 증권(8.9%↓), 생활용품(14.0%↓), 에너지(19.4%↓), 상사(16.7%↓), 여신금융(4.9%↓), 운송(1.2%↓) 업종도 영업이익이 줄었다.
기업별로는 2분기 2조2724억원의 영업손실에서 3분기에는 1조9966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 전환한 한전의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가장 많이 늘었다.
삼성전자도 3분기에 전 분기 대비 264.0% 증가한 2조4335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증가폭이 가팔랐다. 이어 한국수력원자력, GS칼텍스, SK하이닉스, SK에너지, 에쓰오일 등도 증가폭이 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우 하반기 들어 반도체 가격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실적이 빠르게 개선된 것으로 파악됐다.
2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기업은 기아(15.8%↓), 현대자동차(9.8%↓), KT(44.1%↓), 현대제철(50.9%↓), 삼성엔지니어링(55.5%↓) 등 순이었다.
다만 기아와 현대차의 경우 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면서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치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