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수율은 50% 내외…100% 안팎 1만원권과 대비

[금융소비자뉴스 홍윤정 기자] 5만원권이 화폐 발행 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의금과 조의금, 명절 용돈은 물론 일상생활의 지급 용도로 사실상 5만원권이 대세로 자리 잡은 것이다.
반면 1만원권 비중은 10% 아래로 떨어졌고, 5000원권과 1000원권은 1%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전체 화폐발행잔액 176조8000억권 중 5만원권 지폐는 155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화폐발행잔액 가운데 88.1%가 5만원권인 셈이다. 화폐발행잔액이란 한은이 시중에 공급한 화폐에서 환수한 돈을 제외하고 시중에 남은 금액을 말한다.
5만원권 비중이 88%를 돌파한 것은 2009년 6월 발행 이후 처음이다.
첫 발행 당시 시중 화폐 중 5만원권 비중은 7.7%에 그쳤다가 2009년 7월(12.9%) 곧바로 10%를 넘겼다. 이어 같은 해 9월(20.5%)에는 20%를 돌파했다.
이후 경제 규모 확대, 물가 상승 등으로 사용하기 편한 고액권 수요가 많아지면서 5만원권 유통은 빠르게 늘었다.
2010년 2월 5만원권 비중은 화폐발행잔액의 30%선을, 같은 해 9월엔 40%선을 넘었다. 2011년 8월엔 절반을 넘은데 이어 2012년 12월엔 60%선에 올라섰다. 2015년 1월 70%선을 넘어선 뒤 2017년 11월 80%대에 올라섰다. 2021년 6월 5만원권 화폐발행잔액 비중은 85%를 넘어섰다.
5만원권에 밀리며 1만원권 비중은 급격히 줄었다. 8월 말 기준 1만원권 지폐 발행잔액은 15조6000억원으로 전체 화폐발행잔액 중 역대 최저치인 8.8%에 그쳤다. 5만원권 발행 직전인 2009년 5월 1만원권 비중은 86.6%에 달했다.
이후 5만원권이 확산하면서 1만원권 비중이 계속 떨어졌다. 2010년 9월(49.7%) 50% 밑으로 떨어진 1만원권 비중은 2011년 8월 40% 아래로, 2013년 3월 30% 아래로 내려갔다. 2015년 11월 10%대로 떨어진 뒤 2022년 7월부터는 10%에도 못 미쳤다.
5000원과 1000원권의 존재감은 더욱 사라지고 있다. 5000원권과 1000원권 발행 잔액은 8월 말 기준 각각 1조4000억원, 1조6000억원 수준이다. 전체 화폐발행잔액 중 비중은 0.8%와 0.9%에 불과했다.
화폐발행잔액 중 5만원권의 비중은 90%에 육박하지만 환수율은 절반 수준이다.
화폐 환수율이 낮다는 것은 화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지 못하고 가계, 기업, 금융기관 등 경제주체들이 거래나 예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코로나로 대면 거래가 줄고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비상용 현금으로 고액권인 5만원권을 쌓아두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만원권 발행 이후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40~60% 수준을 유지하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인 2020년엔 24.2%, 2021년엔 17.4%까지 떨어졌다.
이후 방역조치 완화로 5만원권 환수율은 지난해(56.5%) 예년 수준을 회복했다. 올해 들어선 1분기 112.4%까지 치솟았다. 2분기에는 다시 41%로 하락했다.
5만원권을 제외한 나머지 화폐의 환수율은 꾸준히 100% 안팎 수준을 유지중이다. 1만원권 환수율은 2021년 95.9%, 2022년 127.6%였다. 같은 기간 5000원권은 90.9%와 97.6%, 1000원권은 106.9%와 98.2%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