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신임 사장으로 김동철 전 국회의원을 선임했다. 국내 전력공급을 책임지는 발전공기업인 한전에 정치인 출신 사장이 선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전력은 18일 오전 전남 나주 본사에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하고, 김동철 전 국회의원을 제22대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시 주총에서 김 전 의원을 신임 사장에 선임하는 안건이 통과됨에 따라 산업부 장관 제청을 거쳐 임명권자인 윤석열 대통령이 재가하면 한전은 1961년 창립 이후 62년 만에 첫 정치인 출신 사장을 맞게 된다.
앞서 한전 임원추천위원회는 신임 사장 후보 추천 사유에 대해 “제19대 국회에서 산업통상자원위원회(산자위) 위원 및 위원장을 역임하여 전력산업에 대한 폭넓은 식견과 전문성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임추위는 또 “산자위 활동 당시 전력계통 한계에 따른 변전소 증설 필요성, 탄소중립 정책목표와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모순점 해결방안 등 전력산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등 관련 분야의 다양한 정책 수립 경험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김 후보자는 약 20년간의 의정활동 동안 경제 활성화 및 산업발전을 위한 여러 입법 활동에 주력하면서 그 과정에서 복잡한 이해관계 조정과 소통 능력 발휘 등 뛰어난 리더십을 갖췄다”고 이유를 밝혔다.
김 전 의원은 광주제일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산업은행에서 근무했다. 이후 17대 국회를 시작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광주 광산구에서만 4선(17대~20대)을 지냈다.
특히 19대 국회에서는 산업통상자원위원장을 역임했고, 20대 국회에서는 국민의당·바른미래당 원내대표를 지냈다. 윤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부위원장도 맡았다.
신임 사장은 재무위기를 맞은 한전의 자구 이행과 전기요금 현실화 등 과제를 안고 있다. 한전이 지난달 발표한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한전의 총부채는 201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실제로 한전은 자산 매각과 인력 효율화 등을 통해 2026년까지 25조원 이상의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한다는 내용의 자구안을 발표하고 고강도 개혁을 추진 중이지만 역부족이란 평가다.
이 때문에 전기요금 인상과 함께 추가적인 재무건전화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만 전기요금 인상은 국민 부담 가중으로 이어질 수 있어 당장의 인상 단행은 쉽지 않다.
앞서 방문규 산업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장관에 임명되면 신임 한전 사장 등과 한전, 발전자회사의 경영쇄신 방안과 추가적인 재정건전화 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한전 사장 임기는 3년이며 직무수행 실적 등에 따라 1년 단위 연임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