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NH농협은행과 하나은행이 은행권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과잉 대출의 주범으로 '50년 만기 주담대'를 꼽으며 이달 말까지 주요 은행권 가계대출 실태점검에 나선 가운데, 어떤 판매사가 당국의 눈 밖에 날지 업계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기준 50년 만기 주담대 신규 취급액은 총 8조3000억원이었다. 농협은행이 2조8000억원으로 가장 비중(33.7%)이 컸다.
두 번째는 1조7000억원(20.5%)을 취급한 하나은행이었고, 다음은 수협(1조2000억원·14.5%), KB국민은행(1조원·12%), IBK기업은행(9000억원·10.8%) 순이었다.
농협은행과 하나은행 2곳에서 취급한 50년 만기 주담대가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지방은행 중에선 대구은행(2000억원)·경남은행(400억원)·전북은행(100억원)·광주은행(20억) 등이 이 대출 상품을 판매했다.
연령별로 보면 40~50대가 4조 7000억 원으로 전체의 57.1%를 차지했다. 30대 이하는 2조 5000억 원(29.9%)으로 집계됐다. 60대 고객에게도 50년 만기 주담대가 1조 1000억 원(12.9%) 판매됐다.
50년 만기 주담대는 지난해 10월 SC제일은행과 12월 광주은행이 도입했으며 올 상반기에 수협과 대구은행, 전북은행이 취급에 동참했다. 이후 7~8월에는 농협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카카오뱅크, 하나은행, 신한은행, 경남은행, 우리은행 등이 관련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가계 부채 증가 원인으로 50년 만기 주담대를 꼽으며 취급하는 은행들에게 판매 중단을 요청하기 시작했다.
앞서 NH농협은행·기업은행·경남은행·부산은행이 취급을 중단했고, 하나은행도 이날부터 판매를 전면 중단한다.
금감원은 전날 은행 등을 대상으로 대출 만기 설정과 관련한 행정 지도에 나섰으며, 같은날부터 대출 전 기간에 걸쳐 상환 능력이 입증되기 어려울 시, DSR 산정 만기를 최대 40년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금융권 자체적으로도 50년 만기 주담대가 과잉 대출이나 투기 수요로 악용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해 줄 것을 요구할 예정이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오는 22일까지 주요 은행사들의 가계대출 실태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국이 은행권의 가계대출 실태 점검을 통해 추가 대출 관행 제도 개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위해 각사별 어떤 행정 조치들을 가할 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