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청년의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 지원을 위한 정책을 논의하고, 필요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9차 회의 모두 발언에서 "타 연령 대비 청년층의 고용 둔화가 지속되고 있고,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도 증가하고 있다"며 이처럼 밝혔다.
김 차관은 8월 고용동향에 대해 "7월 집중호우 영향이 컸던 건설·농림어업 취업자 수 감소 폭 축소와 함께 보건복지·숙박음식업 중심으로 고용 개선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최근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 등에 따라 향후 도소매・숙박음식업 등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 지속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그는 "다만, 경기회복 조짐에도 불구하고,제조업은 작년 기저효과 등에 따라 취업자수 감소폭이 확대되고, 건설업 고용부진도 지속돼 이에 대해 계속 유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8월 기준 역대 2위 고용률, 역대 최저 실업률을 기록한 점을 강조하며 "과거 대비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고용이 부진한 제조업·건설업 부문에 대해서는 "계속 유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그간 정부가 추진한 빈 일자리 해소 노력에 대해 "지난 7월 빈 일자리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만3000명 감소하는 등 일부 성과가 나타났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일부 지역은 인구 유출, 고령화, 산업기반 노후화 등으로 인력난이 장기화, 고착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역별 빈일자리 해소 방안을 구체화하겠다고 전했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의 등을 거쳐 10월 중 이와 관련된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