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미래 경기 방향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가 장기간 하락하면서 한국 경제의 경착륙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경착륙, 시작되다 - 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이란 보고서를 통해 최근 경기 동향을 바탕으로 2분기 한국 경제는 경착륙이 시작되는 국면에 위치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올해 1월 99.0포인트(p)를 저점으로 2월 99.2p, 3월 99.7p, 4월 99.9p로 반등했다.
반면 미래 경기 방향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1년 6월 102.2p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해서 하락, 지난 4월에 98.0p로 내려왔다.
수요부문에서는 4월 소매판매가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실질구매력 감소로 전월 대비 2.3%, 전년 동월 대비 1.1% 각각 감소했다.
5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5.2% 감소해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는데 특히 5월 대 중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0.8% 감소하며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4월 전산업 생산도 전월 대비 1.4%, 전년 동월 대비 0.8% 각각 감소했다.

연구원은 경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위험 요인으로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과 '중국 시장 불안정성' 등을 꼽았다.
미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연 1.3%로 성장세를 보였으나 통화 긴축정책으로 기업투자 침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중국 시장의 경우 4월 소매판매 증가율이 18.4%로 집계돼 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나타났으나 민간과 정부의 높은 부채, 부동산 시장 침체라는 구조적 문제가 시장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 일례로 최근 위안/달러 환율은 중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인 달러당 7위안을 상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지난 1분기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실질 구매력이 약화하면서 수출과 내수가 침체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시장 규제 완화로 기업 투자를 늘려 소비 시장을 활성화하고 신흥시장과 신산업 발굴 노력을 통해 대중국 수출 부진을 극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