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통계청 조사...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 더 많은 가구 늘어…코로나 사태 이후 최고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1분기 네 가구 중 한 가구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에서는 세 가구 중 두 가구로 가까이로 적자 가구 비중이 커졌다.
30일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가계동향 자료를 보면 1분기 전국 가구 중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 비중은 26.7%를 기록했다.
네 집 가운데 한 집 이상이 번 것 이상으로 돈을 써 빚이 쌓이고 있다는 것이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저소득층의 적자가구 비중은 62.3%로, 세 집 중 두 집 가까이가 적자를 냈다.
1분기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전체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사회보험 등 비소비지출 제외)은 85만8000원이었다.
이들의 소비지출(식료품, 의류, 주거, 가정용품, 교통, 통신, 교육, 음식·숙박 등)은 131만9000원으로 매월 46만1000원의 적자를 냈다.
1분위의 소득은 1분기에 3.2% 늘어나는 데 그쳐 1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 4.7%를 고려하면 실질소득은 1.5% 감소했다.
반면 1분위의 소비지출은 오락·문화 지출 43.3%, 교육 35.1%, 음식·숙박 31.8% 등 늘며 전체적으로 13.7% 증가했다.
지출 비중은 전기·가스요금 인상분이 반영된 주거·수도·광열비 비중이 23.1%로 1년 전보다 15.7% 늘었다.
다음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 비중이 19.0%, 보건이 13.9%로 지출이 많았다.
저작권자 © 금융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