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최근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을 결정한 가운데, 올해 1분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가스요금이 1년 전 대비 3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4분기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지수는 135.49로 전년 동기대비 30.5%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1·4분기(41.2%)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같은 상승은 지난해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급격하게 인상됐던 공공요금의 여파가 물가에 본격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전기요금은 세 차례(4·7·10월)에 걸쳐 ㎾h(킬로와트시)당 19.3원 올랐고, 올해 1월에도 13.1원 인상됐다. 도시가스 요금도 지난해 4차례에 걸쳐 MJ(메가줄)당 5.47원 인상됐다.
지난 16일 정부는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영업손실 및 부채 증가 등을 이유로 전기·가스요금을 한 차례 더 인상했다. 따라서 요금 누적 인상분이 반영되는 2분기 이후에도 전기·가스 물가의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기료의 물가지수가 136.48로 작년 동기 대비 29.5% 상승했다. 이는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겨울 난방과 취사에 주로 쓰이는 도시가스 물가는 129.00으로 36.2% 올랐다. 서민의 연료로 불리는 등유 물가도 171.14로 23.6% 상승했다.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는 소비자물가 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하면 산출된다. 전기료, 도시가스, 등유 등 주로 가정에서 쓰는 연료들의 물가 동향을 보여준다.
이 같이 전기료의 물가지수가 상승한 것은 전기요금이 오른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전기요금은 4·7·10월 3차례 올라 kWh당 19.3원 상승했다. 올해 1월에도 13.1원 인상됐다. 정부는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영업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에서 지난5월 16일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한 차례 더 인상했다.
도시가스 요금도 지난해 4차례에 걸쳐 MJ(메가줄)당 5.47원 인상됐다.
하지만 누적된 한전의 적자는 해소되지 않고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요금인상이 기대보다 낮아 한전은 올해도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이 같은 에너지요금 인상은 소득 수준이 낮은 가구에 더 큰 부담이 됐다. 지난해 4·4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연료비로 지출한 금액은 평균 7만6원이며 전년 동기보다 1만2025원(20.7%) 늘었다.
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평균 연료비는 11.5% 증가했다.
중산층인 3·4 분위 가구의 연료비는 각각 16.0%, 15.3% 올랐는데 전체 평균 증가 폭은 16.4%였다.
정부는 사회 배려계층에 대해 전기요금 인상분 적용을 1년간 유예하기로 했다. 또 기존 에너지바우처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기초생활수급자 등 113만5000가구에 7~9월 4만3000원 상당 에너지바우처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