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정윤승 기자] 지난해 7월부터 지난달까지 이 기간에 청약통장 103만여 개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만큼 청약 당첨으로 시세 차익을 거두기 힘든 데다, 아파트값은 하락하고 공사비 인상 등에 따른 분양가는 상승하면서 청약통장을 해지하려는 가입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2703만191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7월(2701만9253명)부터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10개월 연속 감소했다. 열달동안 무려 102만8209명이 해지한 것이다.
과거 청약통장은 서민들의 내집 마련 필수품으로 여겨졌고 주택시장 호황기 때는 청약에 당첨만 되면 큰 차익을 거둘 수 있어 '로또 청약'으로 불렸다.
하지만 최근에는 상황이 달라지면서 청약통장을 포기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가는 계속 치솟는 데 반해 최근 아파트 가격은 하락해 예전만큼 큰 시세차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진 게 영향을 미쳤다.
청약통장 금리가 시중은행 금리와 차이가 큰 점도 청약통장 해지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세 자금 대출 금리가 4% 안팎으로 크게 오른 데 반해 청약통장 이율은 연 2.1%에 불과하다. 이에 대출 이자나 원금 상환을 위해 청약통장을 해지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청약통장 감소세는 최근 들어 둔화하는 모습이다. 지난 1월에는 한달 사이 14만대 감소세를 보였으나 2월 10만명대 감소, 3월 8만명대 감소, 4월 5만명대 감소로 점차 감소폭이 축소되는 흐름이다.
올 초 서울 4개 구(강남·서초·송파·용산)를 제외한 전역 규제지역 해제를 시작으로 서울 내 비규제지역 청약 당첨자의 실거주 의무가 폐지, 무순위 청약 거주 지역 요건 완화 등 규제완화가 잇따르자 국지적으로 청약 수요가 살아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