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전 금융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증권업계의 PF 대출 연체율이 10%를 넘어 여전히 부실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10.4%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21년 말 3.7%에서 6.7%포인트나 급등한 수준으로 지난해 9월 말 8.2%보다도 2.2%포인트 늘어났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2020년 말 1757억원, 2021년 말 1690억원, 지난해 9월 말 3638억원에서 지난해 12월 말에는 4657억원으로 나타났다. 연체 잔액도 지난해 급속히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말 증권사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14.8%로 지난해 9월 말 10.9%보다 3.9%포인트 늘어 위험 수준이다.
2020년 말에는 증권사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5.5%, 2021년 말에는 5.7%에 불과했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9월 말 4842억원에서 작년 12월 말 6638억원으로 큰 폭 뛰었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금리는 지난해 9월 말 8.3%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 12월 말에는 7.1%로 1.2%포인트 내렸다.
변동금리 대출 금리는 작년 9월 말 5.6%에서 작년 12월 말 7.4%로 올랐으나 고정금리대출 금리는 이 기간 8.9%에서 6.9%로 크게 내렸다.
윤 의원은 증권사의 부동산 PF 상황이 은행, 보험, 카드, 캐피탈, 저축은행 등 다른 금융권보다 좋지 않다고 평가했다.
은행의 경우 지난해 12월 말 부동산 PF 연체율은 0.1%,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07%에 불과했다. 보험사는 부동산 PF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각각 0.60%와 0.43%로 나타났고, 저축은행은 각각 2.0%와 3.0%, 캐피탈사는 각각 2.4%와 1.7%였다.
상호금융사의 지난해 12월 말 부동산 PF 연체율은 0.09%였다.
윤 의원은 "은행·보험·카드·캐피탈·상호금융·저축은행까지 모두 큰 걱정은 없다는 평가가 가능하지만, 증권사의 부동산 PF 지표는 금융권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숫자들이기 때문에 계속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