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2030년까지 한국의 배터리 수출이 연평균 약 3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최근 한국 전기차 공급망에 대한 분석 보고서에서 "한국 기업들은 미국·유럽에서의 생산능력 확대, 기술적 우위, 미국의 세액공제 혜택 등을 고려할 때 중국 외 지역에서의 전기차(EV) 수요 급증이라는 새로운 추세로부터 수혜를 볼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전기차 공급망 확장은 한국 기업들의 배터리 제품 생산 증가를 가져와 2027년까지 향후 5년간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을 연 0.3%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배경으로 전 세계 2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며, 특히 2030년까지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의 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각각 33%, 28%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을 제시했다.
반면 중국의 배터리 수요에 대해서는 이미 높은 수준이라 연평균 증가율은 11%로 상대적으로 낮게 예측했다.
이에 중기적으로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 배터리 매출이 2030년까지 연평균 43% 증가하며, 한국의 배터리 제품 수출은 연평균 33%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유럽에서 급증하는 수요의 대부분은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되어 충족될 것이므로 한국 기업들의 배터리 사업이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본 것이다.
나아가 골드만삭스는 비 전기차 관련 대미·대중 수출이 각각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는 가정 아래 한국 기업의 중국 외 지역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가 지속되고 미국의 전기차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 2030년까지 한국의 대미 총수출이 대중 수출을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한국의 전기차 공급망의 급속한 확장이 "2027년까지 향후 5년간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을 연 0.3%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배터리 생산량 증가가 한국의 수출 증가율을 연 2.5% 끌어올리고 수입 증가율은 연 1.4% 끌어올려 한국의 경상수지를 개선시켜 중기적으로 원화 가치를 의미 있게 상승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