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와 SVB파이낸셜, 시그니처은행 포함...회사채 투자심리 냉각 등 영향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1분기 전 세계 회사채 시장의 디폴트(채무불이행)가 코로나19 확산 당시인 2020년 4분기 이후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1분기 평가대상 기업 가운데 33곳이 디폴트를 기록해 2020년 4분기(47곳) 이후 가장 많았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15곳이 채무를 이행하지 못해 2020년 12월 이후 최다로 기록됐고 이 중에는 미국 은행권 불안 당시 무너진 실리콘밸리은행(SVB)과 모회사 SVB파이낸셜, 시그니처은행도 포함됐다.
고금리와 예금 인출 흐름에 직면했던 SVB는 보유 채권의 평가 가치 하락 후 자금 마련을 위해 손실을 확정한 뒤 지난달 10일 무너졌고, 이틀 뒤 시그니처은행이 뒤따랐다.
무디스는 "금융권 디폴트를 주목할만하지만, 지난달 대다수 디폴트는 여전히 비금융권에서 발생했다"면서 디폴트 규모가 가장 컸던 기업으로 미국 스포츠 중계업체 '다이아몬드 스포츠 그룹'을 언급했다.
이 같은 디폴트의 원인으로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에너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세계 경제성장 전망 하향, 그리고 회사채에 대한 투자심리 냉각 등을 꼽았다.
이에 투자 등급 기업들의 회사채를 추종하는 아이셰어즈의 상장지수펀드(ETF)의 경우 지난해 20% 하락한 뒤 3% 반등하는 데 그쳤다.
무디스는 지난달 2.9%였던 세계 투기 등급 회사채의 디폴트 비율이 연말이면 장기 평균치인 4.1%를 웃도는 4.6%, 내년 1분기 4.9%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다른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도 연말까지 미국 회사채 시장의 디폴트 비율이 4%로 지난달 전망한 바 있다.
공실 증가 등으로 상업용 부동산 건물의 평가 가치가 빠르게 떨어지면서 부동산 개발사들이 빚을 갚지 못하고 그 여파로 대출 은행들이 손실을 볼 가능성도 거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