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지난달 미국의 물가 인상 폭은 둔화됐으나 근원 물가 상승률은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3월 기준금리 인상을 준비하는 미 연방준비제도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6.0% 올랐다고 미 노동부는 14일(현지시간)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 CPI 발표를 앞둔 전날 국내 증시는 압박감에 따른 투자심리 악화로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월(6.4%)보다 오름폭을 줄여 지난 2021년 9월 이후 가장 적게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는 0.4% 올랐다.
식료품 물가가 전월보다 0.4%, 전년 동월보다 9.5% 각각 오른 반면 에너지 물가는 전월보다 0.6%, 전년 대비 5.2% 상승에 그쳐 전체 물가지수 상승폭을 억제했다는 분석이다.
천연가스 가격이 전월보다 8.0% 급락해 2006년 10월 이후 최대폭 하락을 기록했고, 연료유 가격도 같은 기간 7.9% 내려갔다. 반면 휘발유(1.0%)와 전기(0.5%)는 가격이 올랐다.
전체적으로는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미래 물가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간주하는 근원 CPI가 여전히 높고 상승폭을 키웠다는 점이 우려스러운 신호로 평가됐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가 전년 동월보다 5.5%, 전월보다 0.5%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년 대비로는 1월(5.6%)보다 조금 상승 속도가 줄었으나, 전월 대비로는 1월(0.4%)보다 오히려 오름폭이 커졌다.
근원 물가를 끌어올린 주요 요인은 주택 임대료를 비롯한 주거 비용 상승으로, 주거비는 전월보다 0.8%, 전년 동월보다 8.1% 각각 급등해 근원 CPI 상승분의 60% 이상을 차지했다고 노동부는 전했다.
이에 실리콘밸리은행(SVB)를 비롯한 잇단 중소 은행 붕괴 사태로 인해 인플레이션 외에도 금융 시스템 보호라는 과제를 받아 든 연준이 오는 21∼22일 열리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와 관련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새해 들어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느려지고 노동시장이 계속 과열 상태라는 점을 들어 3월 0.5%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시사한 바 있다.
하지만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른 채권 가격 하락으로 SVB 등 중소 규모 지역 은행들이 위기에 처하자 사정이 달라졌다.
미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이 다음주 금리를 0.25%포인트만 올리거나 아예 동결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놓았다. 이에 최종금리도 5%를 넘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이다.
하지만 근원 물가가 잡히지 않고 있다는 이날 노동부 발표를 고려할 때 금융권 불안이 진정될 경우 연준이 소폭이나나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