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금융긴축 지속에 따른 취약 부문 금융불안...한 단계 국내 금융사 익스포저 크지 않아"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정부가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와 관련해 관계기관 합동점검 체계를 24시간 가동해 국내외 시장 상황과 금융시스템 취약 요인을 점검하고, 필요하면 신속히 시장 안정 조치를 시행키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현시점에서 SVB 사태의 여파를 예측하기 어렵다"면서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당면한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해 금융시장 안정 유지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1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가 참석한 가운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SVB 사태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영향을 논의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지난 12일 거시경제·금융현안 관련 정례 간담회에서 SVB 사태의 영향을 점검한 지 이틀 만에 다시 열린 이날 회의에서
추 부총리는 "이번 사태는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대응을 위한 고강도 금융 긴축이 지속되면서 취약 부문의 금융 불안이 불거져 나온 경우"라고 진단했다.
우리 금융시장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모습이지만 높은 경각심을 갖고 상황을 예의주시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는 "향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해야겠으나 현재까지는 국내 금융시장 영향이 제한적인 양상"이라며 "국내 금융기관은 자산·부채 구조가 SVB와 상이하고 유동성이 양호해 일시적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초체력을 가진 걸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 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과 4대 공적연금, 한국투자공사(KIC), 우정사업본부 등 투자기관 등의 관련 은행들에 대한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규모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걸로 파악돼 현 단계에서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다만 세계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아직 통제하지 못한 상황에서 금융시스템 불안 요인까지 겹치면서 향후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필요시 관계기관 공조 하에 신속히 시장안정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