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사업적 권리 기간제한 없이 독점적으로 카카오에 넘겨"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하이브와 SM 경영진 간의 갈등이 법적 송사로 확대될 전망이다.
SM엔터테인먼트 1대 주주로 올라선 하이브는 SM이 카카오와 맺은 사업협력계약에 문제를 제기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하이브는 24일 오전 입장문을 내고 "본 계약이 담고 있는 법적인 문제들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민·형사상의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사는 본 계약이 SM의 주주가치를 훼손하고 SM 아티스트의 권리를 제약하며 SM 구성원의 미래를 유한하게 만드는 계약이라고 본다"며 "SM의 현 경영진은 본 계약과 관련된 세부적인 의사결정을 모두 중단해 달라"고 촉구했다.
하이브는 특히 SM과 카카오가 맺은 전환사채인수계약 내용 중 SM 신주 혹은 주식연계증권 발행 시 카카오에 우선권을 부여한다는 조항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했다.
하이브는 "본 계약 체결 시 별도로 체결된 전환사채인수계약서에는 SM이 신주 혹은 주식연계증권을 카카오·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우선적으로 부여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면서 "이 조항대로라면 카카오는 SM 주가가 내려갈 때마다 우선권을 활용해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지속적으로 지분을 늘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일반 주주에게 불평등한 시나리오를 막을 수 없게 되고, 카카오를 제외한 나머지 주주에게 지속적으로 지분 가치의 희석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본 계약으로 인해 추후 SM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적 투자자를 받기 어려워지고, 사실상 카카오·카카오엔터는 SM의 경영권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하이브는 또 SM이 넘기는 중요한 사업적 권리들과 비교해 SM이 받는 사업 내용은 터무니없이 작다고 지적했다.
하이브는 이번 양사의 계약에서 카카오엔터가 SM 국내·외 음원에 대한 제한 없는 배타적 권리 획득, 카카오엔터가 북·남미에서 SM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관리, 카카오엔터에서 공연·팬 미팅 유통 총괄 등도 포함됐다고 공개했다.
하이브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음반과 음원은 회사의 주 수익원으로 아티스트 위상에 따라 유통 수수료의 협상력이 달라진다"며 "SM은 이번 계약으로 중요한 사업 권리를 기간 제한 없이 독점적 권한을 부여하며 카카오엔터에 넘겼다"고 주장했다.
엔터테인먼트 회사는 아티스트의 가치를 최대로 평가받기 위해 최선을 다해 협상해야 할 의무가 있는데 SM이 본 계약을 통해 이런 중요한 사업권리를 카카오엔터에 쉽게 넘겨줬다는 것이다.
SM이 카카오엔터 글로벌전략담당 장윤중 부사장을 SM의 글로벌 음원 유통을 총괄하는 미등기임원으로 선임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카카오엔터의 임원이 글로벌 음원 유통권을 포함한 SM 주요 사업의 의사결정을 직접 통제하는 구조를 만듦으로써 SM과 아티스트들의 이해관계를 추구하기 어려운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피해는 고스란히 SM 아티스트 및 주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