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대출 카드론도 연간 15% 넘어...고객서비스도 줄줄이 줄여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지난해 사상 최대인 3조원대 순이익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카드회사들이 금융 소비자들에게 최대 18%에 육박하는 고금리 신용대출로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여신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카드회사의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삼성카드 17.70%, 신한카드 16.21%, KB국민카드 14.42%, 비씨카드 13.04%였다. 전달과 비교해 삼성카드는 0.14%포인트(p), 비씨카드는 0.05%p 각각 올랐다.
신용점수가 900점을 넘는 우량 고객의 경우도 삼성카드 15.07%, 비씨카드 12.42%, 국민카드 11.20%, 신한카드 11.08% 등 모두 10%를 넘었다.
단기 카드 대출인 현금서비스의 평균 금리는 우리카드 19.43%, 국민카드 18.45%, 삼성카드ㆍ하나카드 17.96%, 롯데카드 17.80%, 신한카드 17.70%, 비씨카는 17.30%로 법정 최고 금리인 20%에 근접했다.
금융 취약층이 많이 이용하는 결제성 리볼빙의 평균 금리 역시 우리카드 18.35%, 롯데카드 17.82%, 국민카드 17.33%, 현대카드 17.21% 등 법정 최고 금리에 조금 못 미쳤다.
장기 카드 대출인 카드론의 평균 금리는 우리카드 16.36%, 삼성카드 15.66%, 신한카드 15.03%, 롯데카드 15.02%로 모두 15%를 넘어섰다.
이처럼 카드사들은 고금리 신용대출을 지속하면서 자금난 등을 이유로 고객의 이용 한도 및 무이자 할부 기간 축소, 기존 카드 상품 폐지 등 고객 서비스를 줄줄이 줄이고 있다.
이에 카드사들이 이용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외면하며 지난해 사상 최대의 순이익을 거뒀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부분의 카드사들이 실적 호조를 바탕으로 지난해보다 많은 수천만원의 성과급 잔치를 벌이며 위화감마저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조달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고객에 신용대출 금리가 높아지는 건 어쩔 수 없으며 관련 부가 서비스 축소도 불가피하다"면서 "사상 최대 실적이 난 만큼 직원에 대한 높은 성과급 지급 또한 정해진 수순"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