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난방비 급등으로 소상공인 대부분이 사업장 운영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나 뚜렷한 대응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1월 30일~2월 1일 소상공인 1811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사업장 운영에서 난방 비용이 부담된다는 응답이 99.0%에 달했다.
최근 에너지 비용 인상에 따라 수도권과 지방, 고용원의 유무, 사업기간의 장단과 무관하게 모든 소상공인에게 난방비는 적지 않은 부담이 되는 모습이다.
게다가 최근 경기 악화로 매출은 하락한 데 반해, 난방비는 급격히 상승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년동월대비 매출 변동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5.1%가 ‘감소했다’고 응답한 반면, 같은 기간 난방비 변동을 묻는 질문에 96.9%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난방비 증가 수준은 10~30%가 40.2%로 가장 많고 이어 30~50%(31.3%), 50~70%(10.4%) 등 순이었다. 두 배 이상 늘었다는 응답도 6.4%에 달했다.
고정비용을 제외한 변동비에서 난방비가 5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는 숙박업 37.4%, 욕탕업 40.0%로 나타났다. 변동비의 10~30%를 난방비로 지출하는 경우가 응답자의 46.7%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은 난방요금 폭등에 대처할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응책에 대한 물음에는 난방 시간과 온도를 제한한다는 응답이 40.8%로 가장 많았으며, 별다른 대안이 없다는 응답이 35.8%에 달했다. 휴·폐업을 고려한다는 답변도 8.1%였다.
소상공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난방비 관련 지원 정책으로는 소상공인 난방비 요금 할인(51.7%)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긴급 소상공인 에너지 바우처 지원(35.7%), 에너지 취약계층에 소상공인을 포함하는 등 법제화 마련(9.8%) 등 순이었다.
정부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에너지 바우처 제공과 요금 할인 등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소상공인 대부분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정부에 난방비 급등에 대처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차남수 소공연 정책홍보본부장은 "가스와 전기는 소상공인 영업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며 "소상공인 생존권 보호 차원에서 긴급 에너지 바우처 등을 편성해 에너지 비용을 지원하고 에너지 급등 상황에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거를 법제화해 현재와 같은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