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증권사 임직원들에 대한 성과급에 대해 신중한 처리를 당부하면서 관련 증권사 점검을 예고했다.
이 원장은 31일 임원회의를 통해 "그간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단기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은 일부 증권사의 임직원 성과급 지급이나 현금배당 등에서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자본 1조~3조 원 규모의 중형 증권사와 자본 1조 원 미만의 소형 증권사의 브리지론 및 중·후순위 본 PF 합산 비중은 각각 69.3%, 76.5%에 이른다.
중·후순위 본 PF는 선순위 본 PF보다 리스크가 큰 우발채무로 분류된다. 최근엔 다올투자증권이 부동산 PF발(發)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계열사 매각에 나서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부동산 익스포져가 높은 증권사는 향후 부동산 시장상황이나 리스크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 후 성과보수를 합리적으로 산정·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감독당국도 증권사의 부동산 PF 관련 성과보상 체계의 적정성 등에 대해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배당 실시에도 신중하란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증권사 배당 등 주주환원정책은 원칙적으로 개별 기업이 경영상 판단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단 "최근 단기금융시장 경색 국면에서 산업은행 등 외부로부터 유동성을 지원받고 있는 일부 증권사가 배당을 실시함으로써 유동성에 부담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보다 책임있고 사려깊은 자세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