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 성장률은 2.7→2.9%로 올려..."중국 리오프닝 기대감"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 올린 반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0.3%포인트 내리는 조치를 취했다.
이에 전망치가 1%대로 떨어지면서 올해 한국 경제가 1%대 성장에 그칠 것이란 암울한 전망에 힘을 실었다.
IMF는 31일(현지시간) '세계 경제 전망(WEO) 수정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작년 10월 발표한 전망치(2.0%)에서 0.3%포인트 내린 1.7%로 낮춰 잡았다.
IMF는 올해 한국 성장률을 작년 7월 2.9%에서 2.1%로, 10월 2.1%에서 2.0%로 내린 데 이어 3연속으로 성장률을 하향 조정했다.
이 같은 IMF의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1.8%보다는 낮고 정부의 1.6%, 아시아개발은행(ADB)의 1.5%보다는 높다. 한국은행(1.7%)과는 같은 수치다.
한국 경제의 경기 둔화세와 지속적인 고물가 흐름, 수출 부진, 부동산 시장 침체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도 2.7%에서 2.6%로 0.1%포인트 내렸다.

반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 2.7%에서 2.9%로 0.2%포인트 올려 잡았다.
IMF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에도 불구,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와 미·유로 등 주요국의 예상 외 견조한 소비·투자 등으로 작년 10월 전망 대비 성장률을 소폭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IMF는 올해 미국 성장률을 1.0%에서 1.4%로, 유로존은 0.5%에서 0.7%, 일본은 1.6%에서 1.8%로 각각 올려 잡았다.
중국은 4.4%에서 5.2%로 0.8%포인트나 올려 잡았지만 낮은 백신 접종률과 부족한 의료시설에 따른 중국의 경제 회복 제약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경제 분절화, 중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신흥국의 높은 부채 수준 등을 경기 하방 위험 요인으로 거론했다.
IMF는 세계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올해 6.6%, 내년 4.3%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IMF는 근원 인플레이션이 명확히 하락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거나 금리 수준을 유지해는 식으로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며, 광범위한 재정 지원을 축소하는 등 점진적인 재정 긴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주택가격 모니터링 및 비은행금융 부문 관리 감독 강화, 경제 분절화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교역 확대, 저소득국 채무 재조정, 가상자산 관련 기준 마련 등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