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월급보다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월급쟁이 가구의 실질소득이 전년보다 5%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회재 의원실(더불어민주당)은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상용근로자 가구의 실질소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 감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기간 명목소득은 0.5% 증가하는 데 그쳤는데 반해 소비자물가지수가 5.9%나 올랐기 때문이다.
명목소득인 월급에서 오른 각종 상품·서비스 가격을 감안하면 실제 받는 돈의 값어치는 전년보다 더 줄어든 셈이다.
상용근로자보다 지위가 불안정한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실질소득 감소 폭은 각각 5.1%, 5.6%로 더 컸고, 일용근로자의 경우는 명목소득조차 1년 전보다 0.02% 감소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5%,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0.7% 등 자영업자의 실질소득도 전년에 비해 감소했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6.3% 이후 8월(5.7%), 9월(5.6%), 10월(5.7%), 11월(5.0%) 등을 나타내며 올들어 11월까지 5.1% 올랐다.
2019년 0.4%, 2020년 0.5%, 작년 2.5% 등 과거 3년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0배 이상 수준으로 폭등한 것이다.
김 의원은 "고환율·고물가·고금리·수출 부진·기업 부실 등으로 인한 복합 경제위기가 내년부터 본격화한다는 전망이 다수"라며 "노동자 임금 인상 자제를 외칠 때가 아니라 재정 투자로 내수를 끌어 올려 경제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