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기준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서울 강남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80선이 무너졌다.
2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5.4로 지난주 76.0에 이어 0.6포인트(p) 떨어지며 2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 같은 수치는 2019년 6월 둘째주(76.0) 조사 이후 3년4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크게 낮아지며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보여줬다.
특히 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의 매매수급지수는 79.4를 기록하며 지수 80이 깨졌다. 이 역시 2019년 6월 둘째주(78.7) 조사 이래 3년4개월 만이다.
이번주 송파구 수급지수는 서울 25개 구 가운데 가장 큰 폭인 0.43% 하락했고 강남구와 서초구도 지난주보다 큰 폭인 0.23%, 0.18% 각각 떨어졌다.
이로써 서울 5개 권역 중 매매수급지수가 80을 넘는 곳은 영등포·양천·강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82.6)만 남게 됐다.
은평·서대문·마포구 등이 있는 서북권은 68.2로 2019년 7월 첫째주(63.5) 이후 3년3개월여 만에 가장 낮게 기록됐고,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있는 동북권도 69.6을 기록하며 2012년 7월 이후 가장 낮았다.
용산·종로·중구 등이 있는 도심권은 이번주 매매수급지수가 70.1로 지난주(70.3)보다 소폭 하락했다.
이 같은 수급지수 하락은 한국은행의 계속되는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매수심리가 얼어붙고 있는데 따른 것이란 해석이다.
실제 부동산원 조사에서도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28% 떨어져 2012년 6월 11일(-0.36%) 이후 10년4개월 만에 최대 하락을 기록했다.
전세수급지수도 서울과 수도권이 모두 80선이 무너졌다.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도 이번주 78.6을 기록, 2019년 6월 셋째주(78.1)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수도권 전세수급지수도 79.2를 기록하며 80 밑으로 내려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