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임동욱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투자업권과 취임 후 첫 간담회에서 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강조했다.
이 원장은 2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증권사·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국내 경제가 물가와 금리, 환율 등의 3고 현상에 직면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스트레스 상황을 고려한 충분한 유동자금 확보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증권사의 경우, 단기시장성 차입으로 조달한 자금을 채권에 투자하는 조달과 운용간 미스매칭이 존재하는 만큼 유동성관리에 주력하라”고 당부했다.
금리상승으로 인한 보유채권 손실에 대비한 채권 포시션 및 듀레이션 관리 등 건전성도 선제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이원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대규모 마진콜 사태의 경험을 교훈으로 주가연계증권(ELS) 자체헤지 마진콜에 대비한 철저한 외화유동성 관리를 주문했다.
특히 이 원장은 금융투자권역이 투자자 보호와 자본시장 신뢰확보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주주나 계열회사와의 거래나 SPC 등을 이용한 우회거래 시 이해상충 소지나 투자자 피해 가능성을 점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자본시장 불안에 대응해 자본시장 안정을 도모하고 투자자를 보호하는 것이 금감원의 역할이라며 "자사주 매수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공매도 조사전담반을 통해 시장 불안에 편승한 투자자 피해 유발행위 등은 엄중히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와 관련해서는 총량 축소 기조하에 선택과 집중 방식의 사전 예방적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회사 경영진 또는 대주주 등 내부자가 사익을 위해 회사나 투자자의 재산을 활용하거나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불공정거래에 대해 사전예방적 검사를 통해 차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펀드 상시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펀드 관련 데이터를 통합관리하는 등 사모펀드 시장 감시 체계를 견고히해 제2의 사모펀드 사태 발생을 예방하겠다”고 덧붙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10개 증권사 CEO 및 7개 자산운용사 CEO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