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이어 신한(0.28건)·국민(0.26건)·농협(0.25건)·하나(0.24건)·카카오뱅크(0.15건)·케이뱅크(0.08건) 순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지난해 정부의 강화된 가계대출 규제 영향으로 은행권에 접수된 여신 관련 민원이 전년보다 9%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에 접수된 여신 관련 민원 비중은 34.2%로 전년보다 8.9%포인트 늘었다. 금융당국이 총량관리를 비롯한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를 동원하면서 관련 민원이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관리를 맞추기 위해 지난해 8~9월부터 본격적으로 대출 중단에 나선것이 여신 관련 민원 수 급등을 부추겼다.민원 중엔 대출 한도가 예상보다 적거나, 금리가 지나치게 높아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여신 민원 증가가 은행의 전체 민원 접수 건수가 줄어드는 추세와 상반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지난 해 접수된 전체 민원 수는 총 2282건으로 전년보다 23% 줄었지만 여신관련 민원수는 3.7% 늘었기 때문이다.
고객 10만명당 민원수 기준으로 보면 지난 해 4분기 기준으로 우리은행이 0.31건으로 제일 많다. 뒤를 이어 신한(0.28건)·국민(0.26건)·농협(0.25건)·하나(0.24건)·카카오뱅크(0.15건)·케이뱅크(0.08건)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세대출 지연에 따른 민원도 늘었다. 실제 7개 은행의 민원을 분기별로 보면, 지난해 548건의 민원이 전체의 29%를 차지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취임 이후 강도 높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나서면서 지난해 8월 농협은행 등에서 대출중단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들께 은행의 자체적 판단이 아니라 정부 규제에 따른 대출 중단 조치라는 설명을 제공했지만, 당장 돈이 시급한 고객들은 은행에 불만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