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8:05 (금)
새로운 삶, 아름다운 이웃
새로운 삶, 아름다운 이웃
  • 곽진
  • 승인 2020.09.01 11:00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곽진 칼럼] 나이 들어 지난 추억과 욕망을 덜어내려는 건 그 빈자리의 주인을 새로운 나로 삼겠다는 희망 때문이다. 손 떼먹은 물건 하나하나에 늘 삶의 추억이라는 DNA를 입혀온 우리들은 비우고 버린다는 행위가 연인과 정을 떼는 일처럼 그리 손쉽지 않은 일임은 자명(自明)하다. 특히 책을 보는 사람의 연구 공간은 바로 그 사람의 정신세계라 더욱 그렇다.

새로운 나란 다른 배움의 길로 들어서는 걸 말한다. 고인들은 참 나의 세계를 개척하려면 비움과 겸손을 앞세우라고 권한다(肆古爲學, 虛心遜志). 덜어내고 비운다는 것은 자기 발견을 위한 준비라, 지난 추억들로 넘치는 공간은 새 삶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는 암시가 아닐까.

그렇다고 과거가 온통 쓸모없다는 게 아니다. 철 지난 생각과 물건들을 다이어트해 새 공간을 만들자는 거다. 과거라는 담을 쳐놓고 그 속에서 사는 한 새로운 삶은 그 추억의 담을 넘어서기 어렵다. 남은 시간을 내 걸로 만들려면 과거라는 그 두꺼운 벽을 허물어야 한다. 버리고 비운다는 속내는 쉽게 버리는 일회용 물품을 말하는 게 아니다.

쉽게 사고 쉽게 버리다 보면, 우리의 삶의 깊이는 그만큼 얄팍해지기 마련이다. 지난 추억과 물건에도 정이 붙는다. 이처럼 오래 묵은 친구처럼, 정든 여인처럼, 추억이 깃든 물건들도 다른 삶을 위해서라면 새 인연을 찾아주라는 것이다. 인연이 다한 물건들을 ‘아직’이라는 이유로 붙잡아둔다면 새로운 내가 들어설 공간은 좁아진다.

침묵으로 소통하는 삶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이 있다. 가장 아름다운 삶은 물처럼 사는 것이라는 뜻이다. 지난 세월의 집착을 지워낸 자리를 새로운 나를 넣어 물처럼 유장하게 사는 인생이다. 남들과 겨루거나 다투지 않은 삶, 생명을 기르고 정성을 쏟지만, 그 공을 드러내지 않은 모습 그것이 상선약수의 삶이다. 즉 물 위의 빈 배(虛舟)처럼 물결치는 데로 움직이며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는(我心則虛舟之不繫也, 惟水之順而已) 참 자유이다.

더할 나위 없이 부드러운 물도 그 흐름을 거역할 때 격노한다. 『주역』에서 이러한 양면의 기질을 겉은 부드럽지만 속은 굳세다는 감괘로 정의했다. 이런 이유로 물의 분노를 돌아선 백성의 마음으로 비유해 왔다. 부드러움과 두려움이 공존하는 물의 속성을 배우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는 누구와도 소통할 나를 꿈꾸기에 그렇다. 부족한 곳은 메워주고, 만나는 모든 것들을 어루만지며, 수만 년을 그렇게 흘러가는 그 끝없는 사랑을 배우려는 것이다. 품어주는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침묵의 몸짓으로 깨우쳐주는 물의 삶이 부럽다.

좋은 이웃이 되는 길

중국 남북조 시대의 역사서인 『남사(南史)』에 송계아(宋季雅)라는 분이 퇴직 후 살 집을 구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당대 최고의 명사였던 여승진(呂僧珍)과 이웃하려고 시세보다 훨씬 많은 돈을 주고 집을 장만했다. 그 소문을 들은 여승진이 놀라 그 까닭을 묻자, 그는 ‘백만매택, 천만매린(百萬買宅, 千萬買隣)’이라고 답했다.

즉, “백만금은 집값이고 천만금은 당신의 이웃 값으로 낸 비용입니다”. 여승진이 반응이 궁금해진다. 자신을 인정해주는 사람이 거금을 들여 이웃하자고 찾아왔으니, 반듯하게 살아온 지난 세월이 입증된 셈이니 말이다. 예로부터 자기를 알아주는 이와 어울려 사는 환경을 가장 큰 복이라고 여겼다.

이 두 사람의 만남을 두고 세상 사람들이, 꽃의 향은 백 리요, 술의 향은 천 리지만, 사람의 향은 만 리다(花香百里, 酒香千里, 人香萬里) 라고 하여 세상 어떤 것과도 견줄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만남이라고 칭송하였다. ‘덕을 부지런히 닦아간다면 반드시 알아주는 이웃이 생긴다(德不孤必有隣).’라는 공자의 말씀이 떠오르는 일화이다.

새로운 나를 찾아내 물처럼 소통하는 삶을 산다면 다른 사람들의 좋은 이웃이 될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진다. 스스로가 좋은 이웃이 되는 길을 찾아보자. 좋은 사람이 되어야 좋은 사람이 보인다는 옛 말씀이 새삼스러운 요즘이다.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칼럼은 다산칼럼의 동의를 얻어 전재한 것입니다.

 
글쓴이 / 곽 진
· 상지대학교 명예교수
· (사)다산연구소 이사

· 저서
『김육연구』 (공), 태학사
『장현광연구』 (공), 태학사
『용산일고』 (역주)
『창와집』 (역주) 등외 다수
 

인기기사
뉴스속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금융소비자뉴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여의도동, 삼도빌딩) , 1001호
  • 대표전화 : 02-761-5077
  • 팩스 : 02-761-5088
  • 명칭 : (주)금소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 01995
  • 등록일 : 2012-03-05
  • 발행일 : 2012-05-21
  • 발행인·편집인 : 정종석
  • 편집국장 : 백종국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홍윤정
  • 금융소비자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금융소비자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fc2023@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