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7:00 (화)
하자 투성이 케이뱅크 ‘부실의 늪’ 탈출 가능할까?
하자 투성이 케이뱅크 ‘부실의 늪’ 탈출 가능할까?
  • 이동준 기자
  • 승인 2019.10.01 15:08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본금 부족으로 대출영업 여러 차례 중단…주주만 22곳, 의사결정 더뎌
대주주 우리은행의 소극적 경영 참여, KT의 과다 욕심, 부실 ‘부채질’

[금융소비자뉴스 이동준 기자] 인터넷 은행인 케이뱅크의 경영난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부실의 늪에서  헤어나기는커녕 더욱 깊숙이 빠져드는 듯한 모양새다. 

지난 4월 간판 대출 상품인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과 ‘직장인K 신용대출’의 판매를 중단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자본금이 부족하다보니 재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은행이 대출 영업을 여러 차례 중단할 정도이니 은행 안팎의  위기감은 고조될 수밖에 없다. 

2017년 7월 출범한 지 2년 2개월이 지났지만 가입자 수는 110만명에 그치고 있다. 함께 출발한 카카오뱅크 가입자 1060만명에 비해 10분의 1 수준이다.  여신 규모에서도 카카오뱅크가 19조 원 가량인데 비해 케이뱅크는 2조5600억원에 불과하다.

케이뱅크의 경영이 이처럼 바닥을 헤매는 가장 큰 이유는 주주구성에 있다.  케이뱅크 주주는 우리사주조합을 포함해 무려 22곳으로 구성돼 있다. 최대 주주는 우리은행이지만 지분율은 13.79%로 높지 않다. KT는 2대 주주다. 주주가 많다보니 의사 결정이 더딜 수밖에 없다.

자본금 증액을 위한 유상증자에서도 이에 따른 문제는 그대로 드러났다. 일일이 22개 주주사와 접촉하고 협의를 했지만 몇 개사가 반대하는 바람에 무산되기 경우가 적지 않았다. 실제로 올 초 5900억원 유상증자를 결의했지만 일부 주주가 난색을 보여 무산됐다. 

이는 결국 대표 대출 상품인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과 ‘직장인K 신용대출’의판매 중단으로 이어졌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5월과 12월에도 각각 1500억원과 1200억원의 유상증자를 추진했으나 대부분의 주주들이 증자참여를 꺼리면서 모인 금액은 1275억 원에 그쳤다.

참여연대는 지난해 말 케이뱅크에 대한 선제적인 금융감독이 필요하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참여연대는 당시 “지난해 3분기 공시에서 케이뱅크는 순 손실 약 600억원을 기록하고 자본적정성 지표인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총자본 비율이 1년 사이 25.19%에서 11.2%로 반 토막난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정상적인 은행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주장했다.

인터넷 금융업에 대한 적극성도 문제다. 1대 주주인 우리은행부터가 소극적이다. 업계에서는 우리은행이 이른바 '카니발 효과', 즉 케이뱅크의 영업이 우리은행의 영업에 방해가 될  가능성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전문가들은 케이뱅크 부실의 책임과 관련해 2대 주주인 KT의 황창규 회장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전문성도 없는 측근을 경영진으로 보내 부실을 악화시켰고, 별다른 청사진도 없이 우리은행을 제치고 1대 주주를 차지하겠다는 욕심만 내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소비자원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성명을 통해  “권력의 하수인 역할을 해 왔다고 할 수 있는 황창규 회장은 국회의 국정감사에서 K뱅크의 소비자 편익과 핀테크 발전을 운운하고 있지만 과연 은행 운영에서 얼마나 소비자 보호를 했다는 것인지, 핀테크 발전에 기여했다는 것인지 의문을 갖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에 대한 접근성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케이뱅크는 KT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앱을 다운받으면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입할 때 입력과 인증 절차가 복잡하다보니 가입하려다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뱅크는 '뱅크' 보다 '인터넷'에 주목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은데 케이뱅크는 온라인상에서 불편한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금융소비자원도 케이뱅크의 은행경영행태에 대해 “기존 은행 서비스 마인드는 전혀 생각조차 안하는 안하무인의 자세로 일관하는 부끄러운 은행 경영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기본 은행 업무를 모르는 것은 물론, 서비스 마인드도 없고, 무능한 경영을 해오고 있는 한심한 CEO가 문제”라고 비판했다.

 


인기기사
뉴스속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금융소비자뉴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여의도동, 삼도빌딩) , 1001호
  • 대표전화 : 02-761-5077
  • 팩스 : 02-761-5088
  • 명칭 : (주)금소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 01995
  • 등록일 : 2012-03-05
  • 발행일 : 2012-05-21
  • 발행인·편집인 : 정종석
  • 편집국장 : 백종국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홍윤정
  • 금융소비자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금융소비자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fc2023@daum.net
ND소프트